
프로그램
컨퍼런스
글로벌 리더십 서밋
에너지 & AI 서밋
기후 서밋

글로벌 에너지 라운드 테이블
일시
8월 27일 (수) 13:10~14:1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205호
주제
AI & Energy
주요내용
장관급 인사, 주한대사, 기업대표 등 국내외 주요 리더들이 모여 기후 대응방안 논의(오찬 병행)
주요 참석자
[고위급 대화]
좌장: 김효은 (전 외교부 대사)
[고위급 대화: 대담자]
파티 비롤 (사무총장, 국제에너지기구, IEA)
미셸 패트론 (정책총괄, MSECS)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
좌장: 김효은 (전 외교부 대사)
[고위급 대화: 대담자]
파티 비롤 (사무총장, 국제에너지기구, IEA)
미셸 패트론 (정책총괄, MSECS)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비서실)

한-IEA 에너지•AI 글로벌 포럼
일시
8월 27일 (수) 14:30~16:25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그랜드볼룸
주제
AI를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AI
주요내용
‘Energy for AI, AI for Energy'를 주제로 MS, 구글, NVIDIA, GE 등 주요 기업과 에너지 AI 방향 논의
주요 참석자
[개회사 (Opening Remarks)]
사회: 현희원 – 국제에너지기구(IEA)
환영사: Fatih Birol – 사무총장, 국제에너지기구(IEA)
축사: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Timur Gül – 최고에너지기술책임자, IEA
Hanna Marsden – 글로벌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정책 총괄, 구글
[라운드테이블 1: AI 시대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 보장 (Energy for AI – Ensuring Secure Electricity for the Era of AI), 좌장: Timur Gül, IEA]
Michelle Patron – 글로벌 에너지·연결성·지속가능성 정책 총괄, 마이크로소프트
Joshua Parker – 지속가능성 총괄, 엔비디아
Michael May – 데이터 분석 및 AI 총괄, 지멘스
전동욱 – 상무, 글로벌 대외협력·ESG총괄, LG에너지솔루션
김태윤 – 핵심 광물 공급망 정책국장, IEA
[라운드테이블 2: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혁신 (AI for Energy – Bringing Innovation to Efficient and Sustainable Energy Systems, 좌장: 김홍석 교수, 서강대학교]
Juliette Fropier –AI 팀장, 프랑스
Pankaj Sharma – 보안 전력 및 서비스 부사장, 슈나이더 일렉트릭
Jens Orfelt – 아시아태평양 부사장 겸 지역 총괄, RWE 해상풍력
한현수 – 가스 파워 한국 총괄 리더, GE 버노바
김영훈 - 일본, 한국 공공정책 디렉터, 아마존웹서비스
사회: 현희원 – 국제에너지기구(IEA)
환영사: Fatih Birol – 사무총장, 국제에너지기구(IEA)
축사: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Timur Gül – 최고에너지기술책임자, IEA
Hanna Marsden – 글로벌 에너지 및 지속가능성 정책 총괄, 구글
[라운드테이블 1: AI 시대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 보장 (Energy for AI – Ensuring Secure Electricity for the Era of AI), 좌장: Timur Gül, IEA]
Michelle Patron – 글로벌 에너지·연결성·지속가능성 정책 총괄, 마이크로소프트
Joshua Parker – 지속가능성 총괄, 엔비디아
Michael May – 데이터 분석 및 AI 총괄, 지멘스
전동욱 – 상무, 글로벌 대외협력·ESG총괄, LG에너지솔루션
김태윤 – 핵심 광물 공급망 정책국장, IEA
[라운드테이블 2: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혁신 (AI for Energy – Bringing Innovation to Efficient and Sustainable Energy Systems, 좌장: 김홍석 교수, 서강대학교]
Juliette Fropier –AI 팀장, 프랑스
Pankaj Sharma – 보안 전력 및 서비스 부사장, 슈나이더 일렉트릭
Jens Orfelt – 아시아태평양 부사장 겸 지역 총괄, RWE 해상풍력
한현수 – 가스 파워 한국 총괄 리더, GE 버노바
김영훈 - 일본, 한국 공공정책 디렉터, 아마존웹서비스

한-WB 글로벌 포럼
일시
8월 27일 (수) 16:30~18:0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205호
주제
탄소중립 미래를 위한 스마트하고 탄력적인 에너지 시스템
주요내용
WB 주도로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등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회복력 있는 에너지 확대 방향 논의
주요 참석자
[개회 세션 (Opening Session)]
사회: 서윤규 – 한국에너지공단(KEA) 선임 매니저
개회사: 이상훈 – 한국에너지공단(KEA) 이사장
환영사: Sudeshna Ghosh Banerjee – 동아시아태평양 실무 담당 국장, 세계은행(WB)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Claudia Inés Vásquez Suárez – 동아시아태평양 실무 총괄 국장, 세계은행(WB)
김윤성 – 대표이사, (주)에너지와공간 (주제: 스마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한국의 새로운 기후전략)
[패널 토론 (Panel Discussion) (좌장: 묘 민트, 선임 에너지 담당관, 세계은행)]
Myoe Myint – 선임 에너지 담당관, 세계은행(WB)
김희집 – 대표이사, 에너아이디어(Ener Idea)
Keshan Samarasinghe – 정책 및 사업 개발 전문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신동규 – 상무, 두산에너빌리티 (주제: 20MW+ 해상풍력터빈 개발 현황과 전략 로드맵)
사회: 서윤규 – 한국에너지공단(KEA) 선임 매니저
개회사: 이상훈 – 한국에너지공단(KEA) 이사장
환영사: Sudeshna Ghosh Banerjee – 동아시아태평양 실무 담당 국장, 세계은행(WB)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Claudia Inés Vásquez Suárez – 동아시아태평양 실무 총괄 국장, 세계은행(WB)
김윤성 – 대표이사, (주)에너지와공간 (주제: 스마트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한국의 새로운 기후전략)
[패널 토론 (Panel Discussion) (좌장: 묘 민트, 선임 에너지 담당관, 세계은행)]
Myoe Myint – 선임 에너지 담당관, 세계은행(WB)
김희집 – 대표이사, 에너아이디어(Ener Idea)
Keshan Samarasinghe – 정책 및 사업 개발 전문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신동규 – 상무, 두산에너빌리티 (주제: 20MW+ 해상풍력터빈 개발 현황과 전략 로드맵)

KEA-ADB 청정에너지 대화
일시
8월 28일 (목) 10:00~12:0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205호
주제
지속가능한 저탄소 미래를 위한 혁신적 해결 방안
주요내용
KEA-ADB 공동으로 국제기구, 개도국 정부, 기술기업과 지속가능한 저탄소 혁신 방안 논의
주요 참석자
[개회 (Opening Session)]
사회: 박윤경 – 국장, 한국에너지공단(KEA)
개회사: 신부남 – 기후행동이사, 한국에너지공단(KEA)
환영사: Priyantha Wijayatunga – 에너지부문 수석 국장, 아시아개발은행(ADB)
[기조연설 (Keynote Address)]
Lin Yang – 사무 차장(정책 담당),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
(주제: 저탄소 미래를 위한 지역협력과 에너지 전환)
K.T.M. Udayanga Hemapala – 차관, 스리랑카 전력·에너지부
(주제: 신흥국의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전동욱 – 상무, 글로벌 대외협력·ESG총괄, LG에너지솔루션
(주제: 지속가능하고 전기화된 미래를 향한 산업의 혁신 방향)
[패널토론 (Panel Discussion) (좌장: 남기영, 수석 에너지 이코노미스트, ADB)]
K.T.M. Udayanga Hemapala – 차관, 스리랑카 전력·에너지부
김효은 – 대표이사, 글로벌인더스트리허브
Mikael Melin – 파트너십·개발 담당 이사, 지속가능에너지포올(SEforALL)
Henri Paillere – 기획·경제연구과장, 국제원자력기구(IAEA)
오성진 – 에너지 분석가, 국제에너지기구(IEA)
조낙훈 – 팀장, 두산퓨얼셀
사회: 박윤경 – 국장, 한국에너지공단(KEA)
개회사: 신부남 – 기후행동이사, 한국에너지공단(KEA)
환영사: Priyantha Wijayatunga – 에너지부문 수석 국장, 아시아개발은행(ADB)
[기조연설 (Keynote Address)]
Lin Yang – 사무 차장(정책 담당),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
(주제: 저탄소 미래를 위한 지역협력과 에너지 전환)
K.T.M. Udayanga Hemapala – 차관, 스리랑카 전력·에너지부
(주제: 신흥국의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조 발표 (Scene-Setting Presentations)]
전동욱 – 상무, 글로벌 대외협력·ESG총괄, LG에너지솔루션
(주제: 지속가능하고 전기화된 미래를 향한 산업의 혁신 방향)
[패널토론 (Panel Discussion) (좌장: 남기영, 수석 에너지 이코노미스트, ADB)]
K.T.M. Udayanga Hemapala – 차관, 스리랑카 전력·에너지부
김효은 – 대표이사, 글로벌인더스트리허브
Mikael Melin – 파트너십·개발 담당 이사, 지속가능에너지포올(SEforALL)
Henri Paillere – 기획·경제연구과장, 국제원자력기구(IAEA)
오성진 – 에너지 분석가, 국제에너지기구(IEA)
조낙훈 – 팀장, 두산퓨얼셀

청정에너지
일시
8월 27일 (수) 13:00~18:00
장소
부산 BEXCO, 제1전시장 211-213호
주제
Clean Energy Innovation and Deployment
주요내용
청정 연료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촉진 요소, 초기 대응 및 장애물 극복 전략 논의
주요 참석자

청정 수소 국제포럼
일시
8월 27일 (수) 14:45~17:30
장소
부산 BEXCO, 제1전시장 314-317호
주제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한 청정전력과 청정수소의 역할
주요내용
청정에너지의 미래,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수소 역할 및 필요성, 청정수소 실증 사례 등 발표
주요 참석자
[개회사]
황주호 (사장, 한국수력원자력)
[격려사(영상)]
김정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축사(영상)]
이종배 (국회의원, 국회수소경제포럼)
[축사]
정태호 (국회의원, 국회수소경제포럼)
[축사]
김재홍 (회장, 한국수소연합)
[축사]
김상협 (사무총장, 글로벌녹색성장기구, GGGI)
[발표]
Daria Nochevnik (정책 및 대외협력부장, 하이드로젠 카운슬)
[발표]
Laurent Antoni (사무총장, 국제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 IPHE)
[패널토론]
James Walker (혁신 및 최종사용부문 직무대행, 혁신기술센터, 국제재생에너지기구, IRENA)
Arend De Groot (수석 컨설턴트, 그린 수소, 에너지·소재 전환부,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 TNO)
Petra Schwager (국장, 기후·기술 파트너십부, SDG 혁신·경제전환국, 유엔산업개발기구, UNIDO)
장창선 (부국장, 전략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부서, 글로벌녹색성장기구, GGGI)
안동복 (상무, 신재생 개발팀,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광영 (상무·한국시장 총괄, 글로벌 그린 수소, 아크와파워)
박진남 (교수, 전기에너지공학부, 경일대학교)
황주호 (사장, 한국수력원자력)
[격려사(영상)]
김정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축사(영상)]
이종배 (국회의원, 국회수소경제포럼)
[축사]
정태호 (국회의원, 국회수소경제포럼)
[축사]
김재홍 (회장, 한국수소연합)
[축사]
김상협 (사무총장, 글로벌녹색성장기구, GGGI)
[발표]
Daria Nochevnik (정책 및 대외협력부장, 하이드로젠 카운슬)
[발표]
Laurent Antoni (사무총장, 국제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 IPHE)
[패널토론]
James Walker (혁신 및 최종사용부문 직무대행, 혁신기술센터, 국제재생에너지기구, IRENA)
Arend De Groot (수석 컨설턴트, 그린 수소, 에너지·소재 전환부,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 TNO)
Petra Schwager (국장, 기후·기술 파트너십부, SDG 혁신·경제전환국, 유엔산업개발기구, UNIDO)
장창선 (부국장, 전략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부서, 글로벌녹색성장기구, GGGI)
안동복 (상무, 신재생 개발팀, 삼성물산 주식회사)
서광영 (상무·한국시장 총괄, 글로벌 그린 수소, 아크와파워)
박진남 (교수, 전기에너지공학부, 경일대학교)

기후테크와 인공지능
일시
8월 27일 (수) 15:00~17:0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101-103호
주제
'지속가능한 인공지능'과 기후테크산업 발전 방향
주요내용
AI 기술의 기후영향과 기후테크 산업 발전 방향 논의
주요 참석자
[개회사]
김종률 (사무차장,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발표 1]
AI 데이터 센터가 에너지 전환에 미치는 영향
-Ali Izadi(대표, 블룸버그 NEF 아시아 태평양)
[발표 2]
에이전틱 AI 시대의 기후테크
-김동환 대표(42maru)
[발표 3]
AI를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AI
-정기석 상무 (삼성물산 에너지 기술팀장)
[패널토론]
좌장: 정수종 교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패널]
김진숙 (상무, 딜로이트 한국지사)
김태윤 (전문관, UNFCCC)
박훈영 (PL, 카카오그룹 ESG 지원팀)
이방실 (부사장, SK 하이닉스 SV 담당)
장민희 (파트장, 서울대 기후테크센터 기후리스크)
김종률 (사무차장,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발표 1]
AI 데이터 센터가 에너지 전환에 미치는 영향
-Ali Izadi(대표, 블룸버그 NEF 아시아 태평양)
[발표 2]
에이전틱 AI 시대의 기후테크
-김동환 대표(42maru)
[발표 3]
AI를 위한 에너지, 에너지를 위한 AI
-정기석 상무 (삼성물산 에너지 기술팀장)
[패널토론]
좌장: 정수종 교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패널]
김진숙 (상무, 딜로이트 한국지사)
김태윤 (전문관, UNFCCC)
박훈영 (PL, 카카오그룹 ESG 지원팀)
이방실 (부사장, SK 하이닉스 SV 담당)
장민희 (파트장, 서울대 기후테크센터 기후리스크)

AI와 에너지 전환
일시
8월 27일 (수) 14:30~16:30
장소
부산 BEXCO, 제1전시장 214-216호
주제
AI와 에너지 전환 :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혁신
주요내용
부산의 에너지혁신도시 모델, AI를 통한 에너지 저장 및 효율성 향상 등 논의
주요 참석자
[기조연사]
유종민, 홍익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조르자 람벨리, 미션이노베이션 도시전환미션 총괄책임자
조헌혁, LG CNS 데이터센터사업부문장
[패널토론]
좌장: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패널]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수석외국변호사
민현기, LS ELECTRIC 에너지솔루션 파트장
굴샨 바시스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금융전략협력실장
자다브 아싯, 에퀴노르코리아 아시아태평양본부장
배홍권, 부산광역시 미래에너지산업과장
유종민, 홍익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조르자 람벨리, 미션이노베이션 도시전환미션 총괄책임자
조헌혁, LG CNS 데이터센터사업부문장
[패널토론]
좌장: 홍종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패널]
김진효, 법무법인 태평양 수석외국변호사
민현기, LS ELECTRIC 에너지솔루션 파트장
굴샨 바시스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금융전략협력실장
자다브 아싯, 에퀴노르코리아 아시아태평양본부장
배홍권, 부산광역시 미래에너지산업과장

CFE 기술과 AI
일시
8월 27일 (수) 09:30~11:30
장소
부산 BEXCO, 제1전시장 314-317호
주제
AI시대, CFE 기술 잠재력
주요내용
AI 산업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무탄소 전원 확충 및 AI 활용 에너지시스템 효율화 방안 논의
주요 참석자
개회식
·개회사: 이회성 회장 CF연합
·축 사:
기조 강연 및 대담
·(주제) AI 시대 전개와 CFE 기술의 잠재력
·(기조 발표) Rich Powell, CEO CEBA
·(대담) 이회성, CF연합 회장, Rich Powell, CEO CEBA
패널 토론
·(좌장) Eric Gibbs, Senior Vice President, Global Program, CEBA
패널 - 1:
⁌ AI 산업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무탄소 전원 확충
⁌ AI 활용 에너지시스템 효율화 구상
(1) 글로벌 AI 전력수요 전망(IEA Energy Specialist)
- Tae-Yoon Kim, Head of Critical Minerals Division, IEA
(2) 원전의 역할(IAEA Specialist)
- Henri Paillere, Head of Planning and Economic Studies, Section, IAEA
(3) CFE의 잠재력
- Divya Kottadiel, Principal Specialist, Energy, SEforALL
패널 – 2:
⁌ AI 데이터용 무탄소 전력 확보 전략
⁌ AI 활용 에너지 효율화 구상
(1) Microsoft 구상 및 전략
- Will Hudson, Director of Energy & Sustainability Policy, Asia-Pacific, Microsoft
(2) Google 구상 및 전략
- Miranda West, Head of Net Zero Supplier Engagement & Program Management,
Supply Chain Sustainability, Google
(3) 삼성 구상과 전략
- Boram Lee, Corporate VP/Head of Office, DS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Office, Samsung Electronics
(4) 철강산업 무탄소화 전략
- Yoon-Gih Ahn, Executive Director, POSCO Research Institute(POSRI)
·개회사: 이회성 회장 CF연합
·축 사:
기조 강연 및 대담
·(주제) AI 시대 전개와 CFE 기술의 잠재력
·(기조 발표) Rich Powell, CEO CEBA
·(대담) 이회성, CF연합 회장, Rich Powell, CEO CEBA
패널 토론
·(좌장) Eric Gibbs, Senior Vice President, Global Program, CEBA
패널 - 1:
⁌ AI 산업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무탄소 전원 확충
⁌ AI 활용 에너지시스템 효율화 구상
(1) 글로벌 AI 전력수요 전망(IEA Energy Specialist)
- Tae-Yoon Kim, Head of Critical Minerals Division, IEA
(2) 원전의 역할(IAEA Specialist)
- Henri Paillere, Head of Planning and Economic Studies, Section, IAEA
(3) CFE의 잠재력
- Divya Kottadiel, Principal Specialist, Energy, SEforALL
패널 – 2:
⁌ AI 데이터용 무탄소 전력 확보 전략
⁌ AI 활용 에너지 효율화 구상
(1) Microsoft 구상 및 전략
- Will Hudson, Director of Energy & Sustainability Policy, Asia-Pacific, Microsoft
(2) Google 구상 및 전략
- Miranda West, Head of Net Zero Supplier Engagement & Program Management,
Supply Chain Sustainability, Google
(3) 삼성 구상과 전략
- Boram Lee, Corporate VP/Head of Office, DS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Office, Samsung Electronics
(4) 철강산업 무탄소화 전략
- Yoon-Gih Ahn, Executive Director, POSCO Research Institute(POSRI)

글로벌 기후기술 미래전략
일시
8월 28일 (목) 13:30~15:3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205호
주제
기후변화에 대응 가능한 핵심 기후기술 혁신 방안
주요내용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핵심 수단인 수소 및 CCU 기술의 중요성 조망, 혁신적 기술개발 전략 모색
주요 참석자
개회사 - 정택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 국장
환영사 - 이창근, 한국 에너지기술 연구원 원장
연사/패널
Chulsung Bae,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교수
Pavle Boškoski, Jožef Stefan Institute 교수
Colin E. Snape, University of Nottingham 교수
Christopher W. Jone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교수
김우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환영사 - 이창근, 한국 에너지기술 연구원 원장
연사/패널
Chulsung Bae,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교수
Pavle Boškoski, Jožef Stefan Institute 교수
Colin E. Snape, University of Nottingham 교수
Christopher W. Jone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교수
김우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우수 기상기후 기술
일시
8월 27일 (수) 14:00~16:30
장소
부산 BEXCO, 컨벤션홀 201-204호
주제
기상기후 기술로 여는 산업의 미래
주요내용
국내외 우수 기상기술 소개 및 기상기후정보 활용 우수사례 발표
주요 참석자
[인사말]
김승희, 기상청, 차장
[축사]
황명균,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원장
[연사]
Kari Luukkonen, VAISALA(핀란드), 기술 솔루션 총괄
이진우, 웨더뉴스 주식회사, 본부장
명광민, 디아이랩 대표이사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이사
김우근, 천경해운 팀장
김승희, 기상청, 차장
[축사]
황명균,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원장
[연사]
Kari Luukkonen, VAISALA(핀란드), 기술 솔루션 총괄
이진우, 웨더뉴스 주식회사, 본부장
명광민, 디아이랩 대표이사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이사
김우근, 천경해운 팀장

산불과 탄소
일시
8월 27일 (수) 13:30~15:30
장소
부산 BEXCO, 제1전시장 311-313호
주제
산불 대응과 탄소 중립을 위한 도전과 기회
주요내용
초대형산불에 대비한 주요국의 산불방지 정책, AI 등을 활용한 과학기반 산불재난 관리방안 논의
주요 참석자
[환영사]
강호상 교수 (국제교류위원장, 한국산림과학회)
[축사]
이미라 차장 (산림청)
[발표 1]
인도네시아 산불 저감 및 탄소배출권 확보
Haruni Krisnawati 교수 (기후변화 담당장관 선임보좌관, 인도네시아 산림부)
[발표 2]
산불 관리 및 산불 피해 산림 복원 전략
-고지 다마이 박사 (재해예방·기상·수문학부 선임연구원, 일본 산림총합연구원)
[발표 3]
기후위기 완화를 위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박정호 박사 (이사, 아시아산림연구소, 대한민국)
[패널토론]
좌장: 전의찬 교수 (세종대학교 기후에너지융합학과)
[패널]
소순진 박사 (산림기후산업실장, 한국임업진흥원)
Zalfa Dewi Wulan Kusumah (정책기술분석관, 대외협력국, 인도네시아 산림부)
여운상 박사 (선임연구위원, 환경안전연구실, 부산연구원)
김우성 (연구원, 백년숲 사회적협동조합)
김형수 (대표이사, 트리플래닛)
김관호 (과장, 산림정책과, 산림청)
강호상 교수 (국제교류위원장, 한국산림과학회)
[축사]
이미라 차장 (산림청)
[발표 1]
인도네시아 산불 저감 및 탄소배출권 확보
Haruni Krisnawati 교수 (기후변화 담당장관 선임보좌관, 인도네시아 산림부)
[발표 2]
산불 관리 및 산불 피해 산림 복원 전략
-고지 다마이 박사 (재해예방·기상·수문학부 선임연구원, 일본 산림총합연구원)
[발표 3]
기후위기 완화를 위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박정호 박사 (이사, 아시아산림연구소, 대한민국)
[패널토론]
좌장: 전의찬 교수 (세종대학교 기후에너지융합학과)
[패널]
소순진 박사 (산림기후산업실장, 한국임업진흥원)
Zalfa Dewi Wulan Kusumah (정책기술분석관, 대외협력국, 인도네시아 산림부)
여운상 박사 (선임연구위원, 환경안전연구실, 부산연구원)
김우성 (연구원, 백년숲 사회적협동조합)
김형수 (대표이사, 트리플래닛)
김관호 (과장, 산림정책과, 산림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