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내용
|
패널 토론
좌장: 김희지, Enerideas 수석컨설턴트, 서울대학교 교수
토론자:김수이 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겸 홍익대학교 교수, Falk B?meke 박사, 양자 간 기후 및 에너지 협력 일반 문제 부서장; 북미,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및 터키, BMWK와의 협력, 김지연, 팀장 Green Energy, T?V S?d Korea, 박민혁 한국전력연구원장
- 커피 브레이크 및 네트워킹
ㅇ 세션 2: "해상 풍력 확장 추진 및 그리드의 역할"
- 세션 소개
- 한국과 독일의 재생에너지 잠재력
한독에너지협력팀 아델피 야나 나리타의 연구발표
-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발전 정책, 현황 및 전망
"대한민국 해상풍력 발전 전략과 향후 과제" 최정철 KETEP 풍력사업본부장, "독일의 해상 풍력 - 현상 유지 및 전망", Anton Hufnagl, 부국장, 양자간 기후 및 에너지 협력 일반 문제; 북미,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및 터키, BMWK와의 협력
- “그리드 확장 및 최적화를 위한 과제와 솔루션”
패널 토론
좌장: 김범석 제주대학교 풍력공학과 교수
토론자: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국제협력이사, 한영수 한전 차장, Janine Habethal, TenneT 정치 담당 수석 고문, David Jones, RWE Renewables Korea 해양 개발 책임자 겸 국가 관리자
ㅇ 세션 3: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한국과 독일의 스마트 그리드 및 서비스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 및 현황
"국내 스마트그리드 및 관련 서비스 현황 및 계획", 손종천 한국스마트그리드연구원 국제협력실장, 스마트 그리드 및 디지털 혁신의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문가 의견 , Ffe M?nchen의 디지털 혁신 및 데이터 분석 책임자 Alexander Bogensperger 박사
- 프로젝트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새로운 전기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SKT 컨소시엄 대표,"유연성을 높이는 스마트그리드 기반 에너지 서비스" 한전 대표, UnternehmerTUM Digital Mobility Hub, 혁신 기술자 Dr. Johanna Bronisch 의 회사 의견
- 커피 브레이크 및 네트워킹
- 유연성 서비스를 마케팅하는 방법과 필요한 가격 신호를 보내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패널 토론
좌장: 배성우, 한양대학교
토론자: 한국전자부품연구원(KETI) 이상학 박사, 김진희 한국전력거래소장(KPX), Alexander Bogensperger 박사, Ffe M?nchen 디지털 혁신 및 데이터 분석 책임자, Johanna Bronisch 박사, UnternehmerTUM 혁신 기술자
- 정리 및 전망">ㅇ 세션 1: “다중 위기에 직면한 에너지 정책”
- 개회 및 환영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직무대행 양의석 박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원장 권기영 박사
Martin Henkelmann 박사, KGCCI 회장 겸 CEO
- 소개 기조연설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Peter, Winkler, 주한독일대사관 차석
김민수 한국남부발전 부사장, 홍성호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Korea & Siemens Ltd. Korea 지사장
- "기후 위기와 에너지 안보: 두 가지 뚜렷한 과제의 조화"
패널 토론
좌장: 김희지, Enerideas 수석컨설턴트, 서울대학교 교수
토론자:김수이 한국자원경제학회 회장 겸 홍익대학교 교수, Falk B?meke 박사, 양자 간 기후 및 에너지 협력 일반 문제 부서장; 북미,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및 터키, BMWK와의 협력, 김지연, 팀장 Green Energy, T?V S?d Korea, 박민혁 한국전력연구원장
- 커피 브레이크 및 네트워킹
ㅇ 세션 2: "해상 풍력 확장 추진 및 그리드의 역할"
- 세션 소개
- 한국과 독일의 재생에너지 잠재력
한독에너지협력팀 아델피 야나 나리타의 연구발표
-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발전 정책, 현황 및 전망
"대한민국 해상풍력 발전 전략과 향후 과제" 최정철 KETEP 풍력사업본부장, "독일의 해상 풍력 - 현상 유지 및 전망", Anton Hufnagl, 부국장, 양자간 기후 및 에너지 협력 일반 문제; 북미,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및 터키, BMWK와의 협력
- “그리드 확장 및 최적화를 위한 과제와 솔루션”
패널 토론
좌장: 김범석 제주대학교 풍력공학과 교수
토론자: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국제협력이사, 한영수 한전 차장, Janine Habethal, TenneT 정치 담당 수석 고문, David Jones, RWE Renewables Korea 해양 개발 책임자 겸 국가 관리자
ㅇ 세션 3: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한국과 독일의 스마트 그리드 및 서비스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 및 현황
"국내 스마트그리드 및 관련 서비스 현황 및 계획", 손종천 한국스마트그리드연구원 국제협력실장, 스마트 그리드 및 디지털 혁신의 규제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문가 의견 , Ffe M?nchen의 디지털 혁신 및 데이터 분석 책임자 Alexander Bogensperger 박사
- 프로젝트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새로운 전기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SKT 컨소시엄 대표,"유연성을 높이는 스마트그리드 기반 에너지 서비스" 한전 대표, UnternehmerTUM Digital Mobility Hub, 혁신 기술자 Dr. Johanna Bronisch 의 회사 의견
- 커피 브레이크 및 네트워킹
- 유연성 서비스를 마케팅하는 방법과 필요한 가격 신호를 보내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패널 토론
좌장: 배성우, 한양대학교
토론자: 한국전자부품연구원(KETI) 이상학 박사, 김진희 한국전력거래소장(KPX), Alexander Bogensperger 박사, Ffe M?nchen 디지털 혁신 및 데이터 분석 책임자, Johanna Bronisch 박사, UnternehmerTUM 혁신 기술자
- 정리 및 전망 |